[현장연결] 중대본 "미접종자, 접종 완료자보다 중증화율 5배 높아"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박향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<br /><br />1월 11일 화요일 중대본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의료여력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병상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의료체계 여력이 계속 안정화되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환자 전담치료 병상은 1731개가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22년으로 들어선 이후 오늘까지 188개를 추가 확충하였습니다.<br /><br />중증환자 병상은 1939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1월 1일 1454개에 비해서 485개 정도가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감염병전담병원은 현재 1만 5500여 개로 1월 1일 이후 759개 병상을 추가 확충하였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병상 확충 결과와 또 회전율 제고 노력에 따라서 병상 가동률도 계속 호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준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44.9%입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은 47.4%, 비수도권은 39.6%가 되겠습니다.<br /><br />중환자실 병상의 가동률도 이제는 일상회복 전환 시점인 작년 11월 1일의 가동률인 45.2%보다도 더 낮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준증증환자 병상의 가동률은 42.4%이고요.<br /><br />감염병전담병원 가동률은 31.4%입니다.<br /><br />모두 절반 이하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건 원활한 의료 제공이 가능한 상황이라는 걸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서 병상이 없어서 입원을 기다리는 환자도 작년 12월 29일 이후 2주째 계속 0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병상 확보와 효율적인 병상 운영에 협조해 주신 우리 의료기관, 의료진 여러분 그리고 모든 관계자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어서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유행 규모 감소에 이어서 위중증 환자 등 방역지표도 계속 나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 수는 780명으로 1000명대 이하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의 80.9%하고 사망자의 94.5%를 차지하고 있는데 60세 이상의 감염도 지금 계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이 12.8%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숫자로 하면 359명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이는 고령층의 어떤 3차 접종률이 빠르게 올라가면서 나타난 효과라고 보입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준 60세 이상 3차 접종률은 81.6%입니다.<br /><br />아주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18세 이하 청소년 확진자 비중이 29.1%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 우려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위기를 극복하고 방역상황이 안정화되고 있는 것은 전적으로 우리 국민 여러분들께서 또 협조해 주셨고 또 의료계에서 참여해 주신 그런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들과 의료진 그리고 관계자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감염 시 중증과 사망의 피해를 낮추는 그런 예방접종의 효과는 지금 분명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작년 4월부터 확진자가 53만 명을 분석을 해 봤는데요.<br /><br />그중에 미접종자는 2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 비해서 중증환자와 사망이 4~5배 정도 많았습니다.<br /><br />3차 접종까지 완료한 경우에 비해서는 13배 내지 14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또한 18세 이상 성인 인구 중에 미접종자는 5.5% 정도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8주간 12세 이상 확진자 22만 명 중에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분들이 6만 4000명으로 29%에 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위중증 환자 3800명 중에 접종 미완료자가 2071명으로 54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망자의 경우도 총 2123명 중에서 1143명인 53.9%가 미접종자입니다.<br /><br />미접종자의 위중증이라든지 사망자 비중의 절반 내외에서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미접종자가 감염에도 취약하고 또 감염 시에 위험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직 예방접종을 맞지 않으신 분들 그리고 2차 접종 후에 6개월이 도과하신 분들은 서둘러서 접종에 참여해 주실 것을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또한 접종을 받지 않으신 분들 특히 치명률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은 사람이 많은 곳에 대한 외출 자제해 주실 것 당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되면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도 오미크론이 차지하는 비율이 12.5%입니다.<br /><br />지난 3주간의 추이를 보면 3주 전의 1.8%였던 것이 4%로 증가한 다음에 지금 직전 주의 12.5%가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굉장히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월 중에는 델타 변이를 대체해서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에서는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서 방역 및 의료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수요일에 내일이 되겠습니다.<br /><br />일상회복지원위원회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충분한 논의를 거친 뒤에 조속하게 국민 여러분들께 그 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께서도 확산될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 대비해 주시고 다시 한 번 일상회복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주실 것을 당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본인의 건강 그리고 우리 사회 모두의 안전 또 일상회복을 위해서 최선의 수단인 예방접종 그리고 방역패스에도 적극 협조해 주시기를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정부도 모든 총력을 다해서 병상을 확충하고 또 경구용 치료제 도입 등 오미크론 변이에 대비한 의료대응 체계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